🐸 시작은 단.순.하.게
음원 홍보도 하고 싶고, 감동도 주고 싶고,
웃기기도 해야 하고, 팔로우도 유도하고 싶고..
완.벽.한 릴스를 만드려고 고민이신가요?

숏폼은 정말 짧습니다.
무언가를 다 보여주려 할수록
정작 중요한 감정은 흐려지고, 메시지는 희미해지죠.
아래의 영상은 어떨까요?

최근에 모닝루틴 밈으로 떠오른 영상이죠? 🛁
한 달 만에 팔로워 1,579만명을 모은 영상들입니다.
빠르고, 자극적이고, 말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하죠.
👆🏻 필수 역량 No.1 – ‘감정 자극’
릴스를 시작할 때, 우선적으로 배워야 하는 게 뭘까요?
바로 감정을 자극하는 법입니다.👆🏻
터지는 릴스는 대부분 사람의 감정을 세게 자극합니다.
릴스에서 감정은 크게 3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:

1. 와… 쩐다 (감탄)
- 노래·퍼포먼스·미장센 자체가 압도적일 때
- 보는 순간 “이건 저장해야 돼 🤩” 소리 나오는 영상
한 번 보면, 무조건 다시 보게 되는 포맷입니다.
화려한 무대 조명, 치밀한 연출, 시그니처 안무 등
‘눈을 잡아끄는 압도감’이 핵심입니다.
2. ㅋㅋ 개웃기네 (유쾌)
- 밈·패러디·셀프디스·상황극 등
- 웃기면 무조건 공유됩니다
이 감정은 ‘친구한테 보내고 싶은 욕구’를 자극합니다.
쉽고 가볍게 공감되면서도,
“야 너랑 똑같아ㅋㅋ😂” 식의 유쾌한 반응을 끌어내죠.
3. 와..미쳤다 (경외감/소름)
- 분위기·몰입감·연기력·감정선이 살아 있는 영상
- 보고 나면 여운이 남는 영상 🤯
감정선이 깊을수록, 기억에 오래 남습니다.
잔잔한 연출, 감정 폭발, 절제된 편집으로
몰입을 천천히 끌어올리는 구성이 필요합니다.
👏🏻 그래서 어떻게 하라고요?
평소에 릴스를 볼 때,
그냥 멍하니 보지 말고, 아래 원칙대로 행동해보세요.
1. “이 영상은 어떤 감정을 노렸지?”
위의 3가지 감정을 참고해, 스스로 분류해보세요.
2. 가장 인상 깊었던 릴스를 ‘저장’해두세요.
그게 곧 나의 ‘감정 레퍼런스’입니다.
3. 그 감정 하나를 목표로 숏폼을 만들어보세요.
처음부터 광고·정보·CTA까지 다 넣을 생각은 No.
감정만 제대로 닿아도, 이미 1단계는 성공입니다.

다시 돌아와서 @ashtonhall을 눌러,
이 영상은 어떤 감정을 노렸을지 분석해보고,
이중 어떤 걸 활용할 수 있을지?
충분히 고민해보세요.
📬 그럼에도 잘 못하겠다면?
DIRE가 음악·외모·캐릭터·전체 콘셉트를 기반으로
가장 적합한 감정 자극 영상 포맷을 추천해드립니다.
좌측의 상담 아이콘을 눌러주세요.
1:1 무료 진단, 지금 바로 가능합니다.